세상을 떠나 천국에 이르면 염라왕이 묻는다.
“고운사 다녀오셨나요?” 가운루, 구름 위 누각, 황실기념관 수행전, 봉정사, 부석사 등 60여 개의 아가찰이 있는 고운사에 대해 알아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사원.
고운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6동 본사이다.
신라 문무왕 원년(681년) 해동화엄종의 시조 의상대상이 ‘반개 부용상’ 터에 창건한 절이다.
피는 연꽃. 불교, 유교, 도교를 모두 통달하고 신라 말 도교에 입문했다고 전해지는 최치원은 여지, 양씨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세웠다.
가람은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론의 선구자인 도선국사가 기르고 지은 것이다.
약사전 불상(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 삼층석탑(경북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가 세운 것이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는 지장보살의 수행성지이다.
예로부터 사후에 저승에 가면 염라왕이 “고운사에 가본 적이 있느냐? 일제강점기에 조선불교 31대 사찰 중 하나였으며 현재는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흩어져 있는 60여 개의 사찰을 관장하는 조계종 제16종 총본산이다.
사업이 번창할 당시에는 366개 건물에 200여명이 거주하는 큰 마을이었다.
해방 후 쇠퇴로 사찰의 많은 재산이 소실되었고, 현재는 2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체 본부의 작은 사찰이다.
그러나 약 10년 동안 주변을 정리하고 노후된 건물을 중창불사의 열정적인 기운으로 보수·개축하였다.
중도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인 가운루는 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이다.
신라 말 최치원이 산에 들어가 여지와 여사 두 명의 사신과 함께 가허루를 짓고 후에 최치원의 별칭을 따서 가허루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가운루는 구름 위의 누각이라는 뜻이다.
정자 같은 건물로 조계문과 천왕문으로 들어서면 서향 전면이 보인다.
건물의 전면과 양 측면은 판벽으로 지어졌으며 전면 3칸은 중앙에 기둥이 있는 이중문이 있고 남측에는 판넬문이 있다.
북측 동측에는 누정을 오르내리는 계단이 나무로 되어 있고 누정으로 들어갈 수 있는 이중문이 설치되어 있다.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이 우세하지만 각 부분의 세부적인 형태는 여러 시대의 기술을 보여주고 있어 여러 차례의 수리를 거쳐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도로 현대적인 건물에 귀기둥만 두 갈래의 구체로 장식하고, 산간지방인 가람의 계곡에 장식한 것은 드문 예이다.
계곡 위의 정자는 다리 역할을 하고, 가운루는 다리와 강당의 기능을 겸비하면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구조물이다.
고운 최치원은 신라 최고의 지식인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868년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입학하여 6년 만에 과거에 급제하고 여러 벼슬을 거치며 문필가로 이름을 떨쳤다.
42세에 벼슬을 그만두고 은둔자가 되기 위해 세상을 떠돌았다고 한다.
교육 전에
연수전은 1902년 고종이 기로소에 입성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04년에 건립되었다.
지소는 70세 이상 2급 이상 공무원을 우대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숙종, 영조, 고종 이렇게 4명의 왕만 기재에 들어갈 수 있었다.
고운사에 있는 영조의 사당을 본떠 만든 대한제국 황실의 기념 건축물이다.
규모는 작지만 제국 건축에 걸맞은 형태와 공법, 장식을 갖추고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볼 수 없는 기능과 건축적 형태는 귀중한 본보기가 된다.
맞은편 약사전은 잘 보존된 옛 연수전이다.
나침반 바늘은 너무 강해서 움직이지 않는다고 합니다.